2016. 10. 4. 10:17 기타
한국직업능력개발원 “청년 대졸자 20%가 졸업 후 2년 내에 이직”
한국직업능력개발원 “청년 대졸자 20%가 졸업 후 2년 내에 이직”
서울--(뉴스와이어) 2016년 09월 29일 -- 한국직업능력개발원(원장 이용순)이 30일(금) ‘KRIVET Issue Brief’ 제107호에서 ‘청년층 대졸자의 초기 일자리 이동’을 발표했다.
주요내용은 노동시장에 진출한 청년층 대졸자의 19.8%가 대학 졸업 후 약 2년 내에 이직한다는 점이었다.
여성 청년 대졸자의 이직 비율(22.1%)과 경력 단절 비율(16.4%)이 남자(각각 17.3%, 13.1%)보다 높게 나타났다.
청년층 대졸자는 대체로 이직을 통해 고용 안정성과 임금이 높은 일자리로 진출하나 첫 일자리가 임시직·일용직인 경우 상용직으로 이직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.
첫 직장에서 일용직으로 고용된 경우, 여자가 상용직 일자리로 이직한 비율은 35.6%로 남자 63.2%보다 27.6%p 낮았다.
이직 시 월 평균 7만7천원을 더 받으며 성별로는 남자는 이직 시 월 평균 9만9천원, 여자는 6만2천원을 더 많이 받았다.
주요내용은 노동시장에 진출한 청년층 대졸자의 19.8%가 대학 졸업 후 약 2년 내에 이직한다는 점이었다.
여성 청년 대졸자의 이직 비율(22.1%)과 경력 단절 비율(16.4%)이 남자(각각 17.3%, 13.1%)보다 높게 나타났다.
청년층 대졸자는 대체로 이직을 통해 고용 안정성과 임금이 높은 일자리로 진출하나 첫 일자리가 임시직·일용직인 경우 상용직으로 이직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.
첫 직장에서 일용직으로 고용된 경우, 여자가 상용직 일자리로 이직한 비율은 35.6%로 남자 63.2%보다 27.6%p 낮았다.
이직 시 월 평균 7만7천원을 더 받으며 성별로는 남자는 이직 시 월 평균 9만9천원, 여자는 6만2천원을 더 많이 받았다.
출처: 한국직업능력개발원
웹사이트: http://www.krivet.re.kr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잡코리아, 성인남녀 5명중 1명 ‘니트족’ 조사 발표 (0) | 2016.10.11 |
---|---|
전경련 “대기업 72.8% ‘올해 정시퇴근 문화 조성’ 중점 추진” (0) | 2016.10.05 |
한경연 “20대 국회 114일간 의원입법 신설·강화규제, 폐지·완화의 5.3배 ” (0) | 2016.09.28 |
전경련 “대기업 48.6% 올해 신규채용 지난해보다 감소할 전망” (0) | 2016.09.22 |
SK텔레콤, ‘갤럭시노트7’ 교환 서비스 개시 (0) | 2016.09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