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4. 8. 26. 08:40 기타
직장인 “추석연휴 주머니가 가벼워서 슬프다”
우리나라의 현 가정 경제상황을 보여주는 것 같네요. 씁쓸합니다..
직장인 “추석연휴 주머니가 가벼워서 슬프다”
- - 직장인 절반 이상 금전적 부담으로 추석 연휴 단기 일자리 구할 의향 있어
- 단기 일자리에 가장 관심 많은 연령은 50대, 보수는 최저시급의 2배 이상 원해
- 직장인, 명절에 나이 먹는 부담감 보다 경제적인 부담감을 더 크게 느껴
서울--(뉴스와이어) 2014년 08월 25일 -- 민족 대명절인 추석을 앞두고 직장인들 중 절반은 선물, 부모님 용돈 등의 지출로 인한 넉넉지 못한 주머니 사정을 부담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.
신문, 인터넷, 모바일로 구인정보를 제공하는 벼룩시장구인구직(대표이사 백기웅, job.findall.co.kr)은 직장인 7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, 56.3%가 ‘이리저리 나가는 돈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’을 추석의 가장 큰 스트레스로 꼽았다. 이어 ‘명절음식 준비 등의 가사노동’(24.1%), ‘장거리 운전과 교통체증’(13.3%)이 2, 3위를 차지해 추석 연휴를 보내면서 육체적인 피로감도 만만치 않음을 보여줬다.
추석 연휴 동안 할 수 있는 특수 일자리가 있다면 할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는 53.1%가 ‘추석 때 이리저리 나갈 돈이 너무 많다. 당연히 한다’고 답하며 추석 연휴 적극적으로 경제활동을 할 의사가 있음을 밝혔다.
연령별로 살펴 보면 50대 이상이 72.2%로 추석 연휴 일자리에 가장 높은 의지를 보였고 40대 65.5%, 30대 50%, 20대 42.6%의 순이었다.
추석 연휴 일자리 보수에 대해서는 10명 중 8명이 ‘최저시급의 2배이상’은 받아야 한다고 답했다.
추석 연휴 일자리 보수에 대해 ‘최저시급의 3배이상’을 받아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40%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‘최저시급의 2배’(29%), ‘최저시급의 2.5배’(19.6%), ‘최저시급의 1.5배’(11.4%)순으로 대답했다.
추석 보너스를 받는다면 가족에게 이 사실을 알리겠냐는 물음에는 55.1%가 ‘당연히 알린다’고 답했다. 추석 보너스를 받으면 ‘나중을 위해 비상금으로 저금해둔다’고 답한 응답자가 46.5%로 가장 많았으며 ‘부모님께 용돈을 드린다’(25.3%), ‘아직 못 떠나 여름휴가비에 보탠다’(9.8%), ‘추석 음식 장만에 보탠다’(9.4%) 등의 응답이 그 뒤를 따랐다.
특히 ‘추석 음식 장만에 보탠다’고 답한 여성은 8.2%였던 반면 남성은 1.2%만이 음식 장만에 보탠다고 답해 추석 보너스 소비에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.
한편, 직장인들은 나이를 먹는 부담감 보다는 당장 돈이 나가는 경제적인 부담감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.
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을 또 다른 민족 최대 명절인 설과 비교하여 좋은 것으로 직장인 22.9%가 ‘조카 등에 세뱃돈을 주지 않아서 좋다’고 답하며 1위를 차지했다. 반면 ‘설에는 나이를 먹지만 추석에는 나이를 먹지 않아 좋다’고 답한 직장인은 15.5%로 설문조사 보기 항목 중 가장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.
신문, 인터넷, 모바일로 구인정보를 제공하는 벼룩시장구인구직(대표이사 백기웅, job.findall.co.kr)은 직장인 7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, 56.3%가 ‘이리저리 나가는 돈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’을 추석의 가장 큰 스트레스로 꼽았다. 이어 ‘명절음식 준비 등의 가사노동’(24.1%), ‘장거리 운전과 교통체증’(13.3%)이 2, 3위를 차지해 추석 연휴를 보내면서 육체적인 피로감도 만만치 않음을 보여줬다.
추석 연휴 동안 할 수 있는 특수 일자리가 있다면 할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는 53.1%가 ‘추석 때 이리저리 나갈 돈이 너무 많다. 당연히 한다’고 답하며 추석 연휴 적극적으로 경제활동을 할 의사가 있음을 밝혔다.
연령별로 살펴 보면 50대 이상이 72.2%로 추석 연휴 일자리에 가장 높은 의지를 보였고 40대 65.5%, 30대 50%, 20대 42.6%의 순이었다.
추석 연휴 일자리 보수에 대해서는 10명 중 8명이 ‘최저시급의 2배이상’은 받아야 한다고 답했다.
추석 연휴 일자리 보수에 대해 ‘최저시급의 3배이상’을 받아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40%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‘최저시급의 2배’(29%), ‘최저시급의 2.5배’(19.6%), ‘최저시급의 1.5배’(11.4%)순으로 대답했다.
추석 보너스를 받는다면 가족에게 이 사실을 알리겠냐는 물음에는 55.1%가 ‘당연히 알린다’고 답했다. 추석 보너스를 받으면 ‘나중을 위해 비상금으로 저금해둔다’고 답한 응답자가 46.5%로 가장 많았으며 ‘부모님께 용돈을 드린다’(25.3%), ‘아직 못 떠나 여름휴가비에 보탠다’(9.8%), ‘추석 음식 장만에 보탠다’(9.4%) 등의 응답이 그 뒤를 따랐다.
특히 ‘추석 음식 장만에 보탠다’고 답한 여성은 8.2%였던 반면 남성은 1.2%만이 음식 장만에 보탠다고 답해 추석 보너스 소비에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.
한편, 직장인들은 나이를 먹는 부담감 보다는 당장 돈이 나가는 경제적인 부담감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.
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을 또 다른 민족 최대 명절인 설과 비교하여 좋은 것으로 직장인 22.9%가 ‘조카 등에 세뱃돈을 주지 않아서 좋다’고 답하며 1위를 차지했다. 반면 ‘설에는 나이를 먹지만 추석에는 나이를 먹지 않아 좋다’고 답한 직장인은 15.5%로 설문조사 보기 항목 중 가장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.
출처: 벼룩시장구인구직
홈페이지: http://job.findall.co.kr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“든든한 아군인줄 알았는데…” 직장인 10명 중 9명 이상 ‘뒤통수’ 경험 (0) | 2014.08.29 |
---|---|
추석 때 받고 싶은 선물 1위 ‘현금 및 상품권’ (0) | 2014.08.28 |
금감원, ‘자동차보험료 건수제’ 보험료 폭탄 우려된다 (0) | 2014.08.21 |
예스24 8월 3주 베스트셀러…요나스 요나손의 ‘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’ 3주 연속 1위 (0) | 2014.08.18 |
다세대·오피스텔도 층간소음 기준 적용 (0) | 2014.08.14 |